1. 발암물질이란?
"발암물질(Carcinogen)"이란 세포의 유전자를 손상시켜 암을 유발하거나 그 위험을 증가시키는 물질입니다. 세계보건기구(WHO) 산하 국제암연구소(IARC)는 발암물질을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.
- 1군(Group 1): 인체에 암을 유발함이 명백한 물질
- 2A군(Group 2A): 인체 발암 가능성이 높은 물질 (동물 실험에서 발암성 입증)
- 2B군(Group 2B): 인체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
- 3군, 4군: 인체 발암성과 관련성이 적거나 명확한 증거가 없음
2. 1군 발암물질 – 반드시 피해야 할 물질
1군 발암물질은 사람에게 암을 일으킨다는 과학적 근거가 확실한 물질로,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.
① 석면
- 오래된 건물 단열재, 슬레이트 지붕 등에 포함
- 폐암, 중피종 등 유발
② 담배 연기(흡연 및 간접흡연)
- 폐암, 구강암, 식도암, 방광암 등
- 70여 종의 발암물질 포함
③ 벤젠
- 공업용 화학물질, 휘발유, 담배 연기 등
- 백혈병 등 혈액암 유발
④ 석탄 타르 및 그을음
- 도로 포장재, 공업 배출가스 등
- 피부암, 폐암 위험 증가
⑤ 자외선(UV)
- 햇빛, 자외선램프
- 피부암(흑색종, 기저세포암 등) 유발
⑥ 가공육(햄, 소시지, 베이컨 등)
- WHO 발표: 하루 50g 이상 섭취 시 대장암 위험 증가
- 아질산나트륨 등 첨가물 포함
⑦ 방사선(라돈, X선 과다 노출)
- 폐암 유발 가능
- 특히 라돈은 지하공간, 오래된 건물, 온천 등에서 방출
3. 2A군 발암물질 – 가능성이 높은 물질
이 그룹은 인체에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지만, 명확한 인체 실험은 부족한 물질입니다.
① 붉은 육류
- 소고기, 돼지고기, 양고기
- 과다 섭취 시 대장암 위험 증가
② 고온에서 튀긴 음식(튀김유 반복 사용)
- 아크릴아마이드 생성 가능
- 감자튀김, 도넛, 고온 튀김 음식 주의
③ 야간 교대근무
- 멜라토닌 분비 저해 → 유방암 등 위험 증가
④ 글리포세이트
- 농약 성분으로 최근 논란 있음
- 농산물 섭취 시 잔류 가능성 있음
⑤ 배기가스(디젤)
- 도로, 공사장, 공장 등에서 배출
- 호흡기 질환 및 폐암 유발 위험
4. 생활 속 발암물질과 주요 노출 예
발암물질 | 주요 노출 장소/원인 | 주의사항 |
폴리염화비닐(PVC) | 플라스틱 제품, 장난감, 바닥재 등 | 고온 노출 시 다이옥신 생성 가능 |
포름알데히드 | MDF 가구, 접착제, 인테리어 마감재 | 실내 환기 필수 |
BPA(비스페놀A) | 일회용 컵, 플라스틱 용기 등 | 전자레인지 사용 시 용기 확인 필요 |
휘발성유기화합물(VOC) | 페인트, 접착제, 방향제 등 | 장기 노출 시 두통, 호흡기 질환 동반 |
곰팡이균 독소 | 오래된 식품, 곡물, 견과류 | 곰팡이 핀 음식은 섭취 금지 |
5. 발암물질 예방법 및 생활 수칙
① 가공육과 붉은 고기 섭취 줄이기
- 주 2회 이하로 제한
- 섬유질 많은 채소와 함께 섭취
② 실내 공기 질 관리
- 자주 환기하고, 공기청정기 사용
- 페인트, 방향제 사용 후 환기 철저
③ 전자제품 사용 시 주의
- 전자레인지에 플라스틱 용기 사용 금지
- ‘전자레인지용’ 마크 확인
④ 햇빛 차단 생활화
- 자외선 차단제 사용
- 오전 10시~오후 3시 외출 자제
⑤ 흡연 및 간접흡연 금지
- 담배는 어떤 형태로든 발암물질의 주요 원인
- 흡연 공간 피하기
⑥ 농산물 잔류농약 제거
- 식초물이나 베이킹소다로 세척
- 가능한 한 유기농 선택
마무리
발암물질은 피하려고 의식하지 않으면 모르는 사이에 일상 속에 스며들어 건강을 위협합니다. ‘지속적인 관심’과 ‘작은 습관의 변화’만으로도 암 발생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 환경을 바꾸기 어렵다면, 생활방식을 바꾸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.
댓글